- 우분투(Ubuntu) log management
* 디스크 사용 용량 ( df ) 
df -h 
//----------------- 
* 디렉토리(폴더) 크기 (du) 
sudo du -shc /var/log/* 
    - 파일 크기순 정렬 
sudo du -shc  /var/log/* | sort -n -r 
//----------------- 
* 파일 정보 
    - 생성된 날짜는 알아낼수 없다 
stat  temp.txt 
//--------------------- 
* 파일 리스트 (ls) 
    - 최근 파일 순 정렬(연도 보이게) 
ls -lt --time-style=+%Y-%m-%d-%H:%M:%S /var/log 
    - 파일 크기순 정렬 
ls -lS 
//---------------------- 
journal 로그 /var/log/journal 
https://haker.tistory.com/52 
    - 시스템 부팅 시부터 발생하는 모든 이벤트를 수집해서 바이너리 형태의 저널 데이터로 저장 
    - 용량 확인 
du -hs /var/log/journal 
    - journal 로그 확인(보기)
sudo journalctl -r 
    - 100일 이상된 자료 삭제 
journalctl --vacuum-time=100d 
    - 용량제한으로 삭제 
journalctl --vacuum-size=2G 
* journal 의 시스템 사용 용량 제한 설정
- 자동으로 오래된 로그파일 부터 로테이션 삭제 된다
sudo nano /etc/systemd/journald.conf
SystemMaxUse=1000M
- journal 새로 시작( systemd의 journald )
sudo systemctl restart systemd-journald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* 오래된 로그 파일 삭제 
    - 90일 지난 파일 확인(리스트) 
sudo find /var/log -mtime +90 -print 
    - 90일 지난 파일 삭제 
sudo find /var/log -mtime +90 -delete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* 로그 정리 자동 실행 작업 등록 (cron) 
clear_log.sh 파일 작성 
journalctl --vacuum-size=500M 
find /var/log -mtime +100 -delete 
    - cron 작업 수정 
crontab -u root -e 
# - 매일 02:00에 /root/clear_log.sh 를 수행  
0 2 * * * /root/clear_log.sh 
    - cron 확인 
crontab -u root -l 
    - cron 실행 로그 실시간 확인 
tail -F /var/log/syslog 
'Code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iOS 크롬 개발자 도구 원격 웹 디버깅(윈도우 PC) (9) | 2020.05.30 | 
|---|---|
| ECMAScrit 와 Chrome V8 버전 (0) | 2020.03.30 | 
| [pusher] 에러 Call to undefined method Pusher Pusher::get_users_info() 해결 방법 (0) | 2020.03.17 | 
| 웹서버 nginx 폴더에 패스워드 설정 (0) | 2020.03.11 | 
| 소스 맵 파일 없음 경고 처리 방법 (2) | 2020.02.21 | 



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