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yper-V 가상 머신 네트워크 설정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가상 머신 가상 스위치(NIC, 랜카드) 설정 방법
가상 머신 선택 -> 설정 -> 네트워크 어댑터 -> Default Switch 선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만약 'Default Switch'가 없다면
'Default Switch'는 재부팅될때 마다 생성된다. 그런데 생성이 안된다면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물리 랜카드를 개인네트워크로 설정
윈도우 설정 -> 이더넷 -> 네트워크 -> '개인' 선택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주의! 모든 네트워크 장치 삭제 (재부팅하면 다시 설정됨)
netcfg -d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윈도우10, wsl, Hyper-V Virtual Ethernet Adapter 장치 지워져서 인터넷 연결이 안되는 문제 해결
wsl --shutdown
netsh winsock reset
netsh int ip reset all
netsh winhttp reset proxy
ipconfig /flushdns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 Hyper-V관련 기능 제거 -> 재부팅 -> 설치 -> 재부팅
제어판 -> 프로그램 및 기능 -> Windows 기능 켜기/끄기
Hyper-V
Windows 하이퍼바이저 플랫폼
가상 머신 플랫폼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 참고 >
Hyper-V 관리자 -> '가상 스위치 관리자'를 통한 가상 스위치 생성
외부 : 물리 랜카드가 사라지고 인터넷 안됨
내부 : 자체로 인터넷이 안되서 물리 랜카드에 인터넷 공유 설정이나 NAT 설정 필요
결론 : '가상 스위치 관리자' 를 사용하는 것 보다,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생성하는 'Default Switch'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 참고 >
삭제 안되는 레지스트리 키 값 삭제 방법
다음 명령으로 실행후 삭제(SysinternalsSuite)
psexec -i -d -s regedit.exe
'Ti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hotoshop, 글자 타이핑이 왼쪽으로 쳐지는 문제 해결법 (0) | 2025.05.25 |
---|---|
AIMP 음악 재생기 사용법 (0) | 2025.05.19 |
어도비 프로그램 설치에러, 에러 코드 195 해결방법 (0) | 2025.03.01 |
Adobe 파일 이름 변경 (0) | 2025.03.01 |
삼성 갤럭시 휴대폰 TTS 한국어 고품질 음성 설치 방법 (0) | 2025.02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