음악 이론 - 음정
음정(音程 / Interval)
https://namu.wiki/w/%EC%9D%8C%EC%A0%95
https://blog.naver.com/ohmusicoh/220108781921
//
| 반음거리 | 완전/장/단 | 증/감 | |
| 0 | C | 완전 1도 | 감 2도 (C - Db) | 
| 1 | 단 2도 | 증 1도 | |
| 2 | D | 장 2도 | 감 3도 | 
| 3 | 단 3도 | 증 2도 | |
| 4 | E | 장 3도 | 감 4도 | 
| 5 | F | 완전 4도 | 증 3도 | 
| 6 | 해당 없음 | 증 4도/감 5도 | |
| 7 | G | 완전 5도 | 감 6도 | 
| 8 | 단 6도 | 증 5도 | |
| 9 | A | 장 6도 | 감 7도 | 
| 10 | 단 7도 | 증 6도 | |
| 11 | B | 장 7도 | 감 8도 | 
| 12 | C | 완전 8도 | 증 7도 | 
//
장 : 장음계 음(메이저 스케일 음)
단 : '장'에서 반음 1개 아래,
//
증 : '장'에서 반음 1개 위, (단+2)
감 : '단'에서 반음 1개 아래, (장-2)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< 화음 > 
* 장3화음 : 1,3,5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* 다이아토닉 코드 (Diatonic chord) 
     - 다이아토닉 스케일(메이저 스케일, 장음계)에 음을 쌓아서 만든 코드 
     - 예) C 키의 C, Dm, Em, F, G7, Am, Bm7(b5) 
* 도미넌트(Dominant, 5도화음) 
     - 도미넌트 화음, 도미넌트 코드, 딸림화음, 딸림7화음, 5도화음 
     - 5도화음 : 해당 조성의 5번째음을 근음으로 하는 화음 
     - 예)  C 키에서 G 코드 (또는 G7 코드) 
     - 1도화음으로 가려는 성질이 강하다 
* 서브 도미넌트(Sub Dominant, 4도화음)
    - 버금딸림화음 
    - 예)  C 키에서 F 코드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* 세컨더리 도미넌트(Secondary Dominant) 
    - 부딸림화음, 부속화음 
     - 각 코드의 5도화음 
     - 화음 앞에 그 화음의 5도 위 화음을 배치하는 것 
     - 예)  C 키에서 G 코드의 세컨더리 도미넌트는 E7 코드 
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 단음계 > 
* 자연단음계 (natural minor scale) 
: C키에서 A음을 으뜸음으로 하면 A 마이너(라단조)음계가 된다 
A B C D E F G A 
* 화성단음계(harmonic minor scale) 
자연단음계가 종결느낌이 약해서 종결 느낌을 내기 위해 7음을 반음 올린다.(으뜸음과 반음 차이 만듬) 
A B C D E F G# A 
* 가락단음계 (melodic minor scale) 
자연단음계에서 상행 시 6음, 7음을 반음 올리고, 하행시에는 자연 단음계 
A B C D E F# G# A G F E D C B A 
- 제6음과 제7음의 사이가 증2도이므로 가락이  자연스럽지 않기 때문에 제6음도 반음을 높임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* 트라이톤 三全音 / Tritone - 셋온음 
- 온음 3개 가격 : C -> F# 
* 더블스탑 : 2줄을 동시에 연주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* 클로즈드 트라이어드 : 가장 낮은 음과 가장 높은음이 1옥타브 이하 
* 오픈 트라이어드 : 가장 낮은 음과 가장 높은음이 1옥타브 이상 
 - 서정적이고 풍성한 느낌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* 가이드톤 : 코드음에서 루트 이외 음 
* 모달 컴핑 : 모드를 이용한 보이싱으로 반주 
* 트라이어드(Triad) 코드 : 3개의 음으로 이루어진  코드(3화음) 
5가지 : Major, minor, augmented, diminished, suspended 
* 대리코드 : 원래 코드의 3음을 근음으로 하는 코드 
Dm7(9) -> FM7 
G7(9) -> Bm7b5 
CM7(9) -> Em7 
A7(b9) -> C#dim7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< 재즈 라인 만들기(솔로) > 
* 코드 아르페지오 
- 대리코드 사용 
* 얼터드 텐션(b9, #9, #11, b13) 
* 크로매틱 라인 
- 타겟팅 : 코드 음으로 이동, 스케일이나 크로매틱을 사용해서  
* 가이드톤을 (코드)첫박에 배치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< 보이싱 >  
https://m.blog.naver.com/pianosampjh/110167678988
* 드롭2 : 클로즈보이싱에서 2nd Voicing을 하성부로 내리는 것입니다. 
예)  CM7코드 
시 
솔(2nd) 
미(3nd) 
도 
2번째 보이싱인 '솔'를 맨 아래로 내림 
시 
미 
도 
솔(2nd)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* 드롭3 :  3번째 보이스 음을 아래로 내리는 것 
예) CM7코드 드롭3 
시 
솔 
도 
미(3nd) 
* 드롭2&4 
CM7로 예를들면 
시 
미 
솔(2nd) 
도(4nd)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코드의 톱 노트가 공통음으로 머물거나 반음계로 상하행 한다. 
코드들이 같은 모양 같은 방향으로 이동 
코드의 톱 노트 움직임을 멜로딕 하게 
코드와 단선율을 섞는다.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멜로디 변화 
정박자 멜로디의 리듬을 밀고 당긴다 
2마디 단위의 패턴에 변화를 준다 
길게 연주되는 곳에 새로운 멜로디를 추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