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인터넷 공유기에서 포트를 개방하는 방식 종류
                codens
                 2022. 11. 8. 01:12
              
 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
    - 라우터 내부 사설망(가정)에서 서버 운영,
    - 외부 컴퓨터로 부터 수신 데이터 포트 개방(접속 가능)
    - 게임(토렌트)등이 원활하지 않을때 설정 
    - NAT-PMP(NAT Port Mapping Protocol, NAT 포트 매핑 프로토콜) 
* DMZ 
    - 특정 내부 컴퓨터 IP 지정해서 모든 포트를 개방
    - 서버 운영 가능 
* 포트 포워딩(port forwarding ) 
    - 내부 컴퓨터의 IP와 특정 포트만을 지정해서 개방
    - 서버 운영 가능 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
* 포트 트리거(port trigger ) 
    - LAN 장치들이 트리거 포트에 요청을 보낼 때만 수신 포트를 자동으로 개방 
    - 한 번에 하나의 클라이언트만 개방 포트에 접근 가능 
    - 설정 :  
incoming port : 내부에서 운영하는 서버의 서비스 포트(FTP=21, WEB=80 등) 
Trigger Port : 외부 컴퓨터가 접속하는 포트 
    - 서버 운영은 잘 안됨 
https://www.asus.com/kr/support/FAQ/114110 
* UPnP(Universal Plug and Play) 
    - 접속자가 요구하면 자동으로 포트 매칭 
    - 서버 운영은 안됨 
    - 게임(토렌트)등이 원활하지 않을때 설정 
반응형